티스토리 뷰
구강건강 관리 와 전신건강의 관계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의 연관성을 구강질환을 예방하면 전신질환도 예방할 수 있는데 체계적인 구강건강 관리 를 통하여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치료, 재활을 꾀해야 한다고합니다. 구강건강 관리 와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최근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되고 있다고합니다. 건강 전반에 있어서 치아 건강, 즉 구강 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으로 치아 의 상실과 전신건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의 최종결과는 치아 의 상실이며, 실제로 치아 상실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치아 손실이 일정한 선을 넘으면 씹는 능력의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은 80세에서 20여개 이상의 치아를 남겨놓아야한다고 합니다. 즉, 잔존 치아 개수가 20개 미만이면 음식을 씹기가 불편하게 느끼는 사람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서 씹기 편한음식으로 식품의 선택 행동의 변화에 따른 생활습관병과 그 요인이라고 불리는 대사 증후군(내장지방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고, 영양의 편중이나 식욕의 저하로 인한 여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양 불균형이란 낮은 영양상태가 계속되면 근육량의 유지에 필요한 단백질 등의 섭취가 불충분하게 근력 저하 그리고 운동 능력의 저하 등을 초래하여 신체적 자립이 손상되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시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씹는 기능이 시각이나 청각 또는 뇌 기능 (학습 기억 능력, 치매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씹는 기능을 유지하여 치아 를 유지하는 것으로 치아 손실을 방지하고 전신건강도 유지하는 것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다양한 연구에 의해 밝혀지고 있습니다.
잘못된 구강건강 관리 로 인하여 구강내 세균의 전신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최근 다양한 역학연구와 세균학연구 등에 의해 전신질환과 치주질환과의 관계가 밝혀지고 있습니다. 충치 발생은 세균으로 치아 표면에서만 증식 할 수 없지만, 치주병원 세균은 혈액에 침입하여 증식 할 수 있기때문에 혈류를 타고 전신질환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사람의 관상동맥에서 치주병원 세균이 검출되고, 최근에는 사지의 폐색성 동맥질환의 특정 질환환자의 폐색동맥에서도 구강 내와 같은 치주병원균 세균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또한 치주병원 세균은 세포벽의 내 독소에 의해 살아 있지않아도 혈중의 온몸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치주포켓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치주병원 세균으로 되어있지만 미래에 혈관과 심장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도 합니다.
또한 순환기 이외에도 호흡기에 들어가 호흡기 감염, 폐렴 등을 유발하거나 간접적인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 반응으로 생긴 프로스타글란딘이 자궁을 수축시키고 조산과 저 체중아 출산의 요인이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조산이나 저체중아 출산은 잇몸 질환의 어머니가 많은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
이상과 같이 구강건강 관리 와 전신건강의 관계를 알아보았는데 실질적으로 구강건강관리가 우리 신체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결과가 나오고있는데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매일매일 구간건강관리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