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서울시 산후조리서비스 제공

수잔 Susan 2018. 7. 14. 00:29


서울시 산후조리서비스 제공

정부가 저출산 대책의 하나로 임산부와 아동의 의료비 지원을 더 늘리기로 했는데, 그 정책의 일환으로 산모, 신생아를 위해 건강관리사가 집으로 찾아가는 서비스인 서울시  산후조리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 제공 산후조리서비스 는 2018년 7월부터 모든 출산가정에 산후조리도우미 건강관리사를 파녁하여 산모 건강관리 및 신생아 양육을 지원하는 서비스 입니다. 좌욕, 복부관리, 부종관리 등 건강관리로 산모지원이 있습니다. 그리고 신생아 돌보기, 모유, 인공수유 돕기, 젖병소득 등 신생아지원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사활동지원으로 식사돌봄 및 집안정리정돈이 있습니다.







서울시 산후조리서비스 이용 자격은 서울시 시민이면서, 출산 후 산후조리도우미 건강관리사 파견을 희망하는 가정은 누구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제공 시간은 매주 월~금요일(주중) 09:00~18:00, 1일 8시간 산후조리도우미 휴식(점심)시간 1시간 포함하여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서울시 산후조리서비스 신청은 산모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산모 본인 또는 친족, 후견인, 법정대리인이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에 대한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60일 경과되면 이용권이 소멸됩니다. 단,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에는 신생아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이 경우 출산일로부터 120일이 경과되면 이용권 소멸) 입니다.


 





서울시 산후조리 서비스 제공은 산후조리도우미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 이용 금액의 일부를 자녀수별로 차등하여 지원합니다.

① 첫째아 출산 시 : 10일(2주) 서비스 제공, 총 102만원 중 500,000원 지원

② 둘째아 출산 시 : 15일(3주) 서비스 제공, 총 153만원 중 771,000원 지원

③ 쌍생아 출산 시 : 15일(3주) 서비스 제공, 총 195만원 중 1,065,000원 지원

그 외 문의사항은 다산콜재단 120 또는 건강증진과 02-2133-7577, 각 자치구 보건소 모자보건팀으로 하시면 됩니다. 이상과 같이 서울시 제공 산후 조리서비스에 대하여 안내해드렸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